세금 3.3% 계산법 및 계산기 사용 방법
세금 3.3% 계산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평소 세금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쉽게도 많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세법이 일반인한테는 생소하고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4대 보험을 따로 들지 않는 영업사원이나 최근에 많이 생긴 프리랜서의 경우는 세금 3.3% 계산법을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세금 3.3% 계산법과 세금 계산기 사용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을 알고 계시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금융문맹에서 한발짝 멀어지기위해서는 먼저 세금 3.3%를 왜 납부해야하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세금 3.3%는 소득세 3%와 지방소득세 0.3%의 합산 금액입니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에 해당되기 때문에 3.3%의 세금이 나오게 되는것 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소득에는 나라에서 정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소득의 3.3%의 세금을 내는 것입니다. 소득에서 3.3%를 공제하는 것을 또 다른 말로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세금 3.3%가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왜 세금을 내야하는지 알아보았으니 이제 세금 3.3% 계산을 계산기를 이용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세금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우선 검색창에 알바몬 알바급여 계산기를 검색해 주세요. 검색을 결과로 왼쪽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 보이게 될 것입니다. 제가 표시해 놓은 곳을 들어가게 되면 오르쪽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될 것입니다. 이 화면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을 보게되면 알바급여 계산기와 주휴수당 계산기로 나누어져있습니다. 우리가 오늘 알아볼 내용은 세금 3.3% 계산법이기 때문에 왼쪽 알바급여 계산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기 위해서 다음 아래와 같이 선택하면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 환산을 하고 싶다면 월급이외에도 일급, 주급, 연봉 등도 선택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2020년 최저 시급은 8590원이기 때문에 시급을 적는 란에 기입하면 됩니다. 일일 근무 시간은 간편하게 평균 8시간으로 선택해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은30분 부터 24시간까지 선택할 수 있으니 여러분들의 근무시간에 맞게 선택하시면 될꺼같습니다.
일주일간 얼마를 근무했는지 선택하는 란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여러분은 근무일 수에 맞게 선택하고 연장 근무도 여러분이 일한 만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편의를 위해서 5일 근무를 선택했고 연장 근무 또한 일1시간씩 5시간으로 선택해보았습니다.
그다음 주휴수당과 수습기간을 미포함하였고 세금을 3.3%로 선택했습니다. 만약 주휴수당을 받아야 하는 분이라면 포함으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최종적으로 모든 선택을 마치게 되면 다음 아래와 같이 선택이 될 것입니다. 그 다음 아래 계산하기를 누르게 되면 세금 3.3%를 떼고 내가 받는 돈이 얼마인지 알 수 있습니다.
시급 8590원에 일일 근무시간이 8시간이고 일주일에 5일 근무 하면서 5일동안 1시간 식 추가 연장 근무를 하였다면 세금 3.3%를 공제한 후 받을 수 있는 돈은 1,506,053원입니다. 만약 세금 3.3%를 공제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557,449원입니다. 이 걸로 알 수 있듯이 여러분은 세금 51.396원을 낸 것입니다.
추가로 세금을 환급 받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년간 받은 급여가 2,000만원 이하라면 인적공제를 비롯한 여러가지 공제항목이 적용되어서 원천징수분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보면 1년간 총 2,000만원을 벌었다면 세금 3,3%인 원천징수는 66만원입니다. 하지만 1년간 급여가 2000만원이하이면서 종소세 신고시 부양가족이나 비용이 많이 발생했다면 최대 66만원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더 많이 알고 싶다면 가까운 세무사에게 연락해 보세요. 지금까지 세금 3.3% 계산 방법과 환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